애드센스 수익을 확인하고 싶어서 애드센스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갔는데 상단 부분에서 경고 배너를 발견했다. 수익 손실 위험이 있으며,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건 또 뭐야, 안그래도 요즘 수익이 들쑥날쑥해서 심난한 나애게 왜 자꾸 이러는 거야🥲
먼저 어떤 상황인지 파악하기 위해 자세히 알아보기를 눌렀다.
ads.txt는 승인받은 것으로 확인된 판매자를 통해서만 디지털 광고 인벤토리가 판매될 수 있게 해주는 IAB Tech Lab 솔루션이라고 한다. (응?) 이 파일을 만들면 사이트에서 광고를 판매할 수 있는 판매자를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가짜 인벤토리가 광고주에게 판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 애드센스 측에서는 ads.txt 파일을 사용할 것을 적극 관장하고 있었다.
반갑게도 애드센스는 계정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맞춤 ads.txt 파일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문제는 쉽게 해결이 가능한 상황이었다. 나와 같은 문제를 갖고 있는 분들을 위해, 아래에 해결 과정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ads.txt 문제 해결 방법
먼저 애드센스 홈페이지의 경고 문구 우측 > 지금 해결하기 텍스트를 클릭한다.
그러면 바로 아래에 '사이트 1개에 사용할 ads.txt 파일 만들기 상자가 표시될 것이다. 중간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한 사이트 도메인도 확인할 수 있다.
하단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ads.txt 파일을 받는다.
다운로드된 파일을 열어보았더니 google.com으로 시작하는 한 줄짜리 텍스트 문서였다. 펍코드도 적혀 있었다.
google.com, pub-0000000000000000, DIRECT, f08c47fec0942fa0
ads.txt 파일을 구했으니 다음으로는 문제가 발생한 도메인(티스토리)의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한다. 좌측 메뉴바에서 꾸미기 > 스킨 편집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새 창이 열리며 편집 화면이 나올 것이다.
우측 상단에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html 편집 화면에서 우측을 보면 HTML, CSS, 파일업로드 - 총 3개의 탭으로 나뉘어져 있다. 파일업로드 탭을 선택한 후에 아래에 있는 추가 버튼을 눌러 아까 다운로드한 ads.txt 파일을 등록한다.
해당 파일이 제대로 등록된 것을 확인했다면 우측 상단 마지막으로 우측 상단의 '적용' 버튼을 누르면 된다.
변경사항이 애드센스에 반영되는 데에는 며칠이 걸릴 수 있다고 한다. 만약 사이트에서 광고 요청을 많이 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대 한달이 걸릴수도 있다고 한다. (윽...) 일단 할 수 있는 것은 다했으니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
승인받은 블로그에 포스팅만 열심히 하면 될 것 같은데,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았지만 애드센스는 은근 여기저기 손이 간다. 역시 뭔가를 같은 상태로 계속 유지하는 일은, 유지보수 없이는 불가능한 일인가 보다.
'투잡도전 > 애드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애드센스 GDPR 메시지 설정하는 방법 (3) | 2023.07.25 |
---|---|
구글 콘솔 '다른 4xx 문제로 인해 차단됨' 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3.03.03 |
올해의 목표 영어 블로그 워드프레스 개설 - A2 hosting 구입하기 (0) | 2023.02.13 |
티스토리 주소를 줌(ZUM) 사이트 검색등록하기 (0) | 2022.11.11 |
애드센스 용어 정리 (0) | 2022.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