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잡도전/스팀잇&코인

스팀잇(Steemit) 시작 & 회원가입하기

by 해이나 2022. 3. 2.
반응형

스팀잇이라는 사이트를 알게 되었다. 호기심에 검색해보았는데 아래와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화폐 종류, 패스워드 종류, 보상 체계 등 운영 원리들이 자세하게 정리되어 있었는데... 보팅, 명성도, 증인 등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는 생소한 단어들이 많아서 일단 패스하고, 일단은 스팀잇의 정의부터 살펴보기로 했다.

 

암호화폐 중 하나인 STEEM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블록체인 기반 SNS 시스템으로 검열 없는 SNS를 추구하는 분산화된 서비스이다. 컨텐츠에 업 보팅(페이스북의 좋아요와 유사한 기능임)된 스팀파워의 합에 비례하여 컨텐츠 제작자가 STEEM 이란 암호화폐로 보상받는다. STEEM 코인은 UPBIT, BITTREX 같은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법정화폐로 환전 할 수 있다.
(출처: 나무위키)

 

스팀잇은 6년 전쯤에 생긴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이다. 더 쉽게 설명하면 블로그처럼 글을 발행하고 업보팅을 받아서, 이 업보팅 금액만큼 스팀, 스팀달러(+트론)이라는 암호화폐로 보상을 받는 시스템이다. 글을 쓰고 있는 현재(3월 2일 오후 4시 6분) 기준으로 업비트에서 스팀은 400원, 스팀달러는 5,305원에 거래되고 있다. 보상 비율이 그리 나쁘지 않아 스팀잇 커뮤니티 활동을 해보기로 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스팀잇 사이트로 이동한다.

https://steemit.com/

 

Steemit

Communities without borders. A social network owned and operated by its users, powered by Steem.

steemit.com

 

우측 상단에 회원가입 버튼이 있는데 눌러서 회원가입을 진행하면 된다.

 

 

Username, Email address, Phone number 등을 기재하고 다음 순서로 넘어간다. 캡처 이미지를 찍어둔 것이 없어서 아래에 텍스트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

 

 

  • User name : 닉네임
  • Email address : 이메일 주소를 적고, 이메일로 발송된 코드번호 6자리를 입력
  • Phone number : 휴대폰 인증 진행 ★010에서 앞의 숫자 0을 빼고 10으로 시작하도록 기재해야 함★

그 다음 페이지에서 패스워드를 받고, 다시 패스워드를 확인하면 회원가입이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

스팀잇에 가입하면 steemit private keys와 Public keys 4개를 받을 수 있다. 각각 posting, memo, active, owner 라고 되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Master password도 받는다. 이 key를 잃어버리면 로그인을 하거나 코인을 옮기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니 이 Key가 적혀있는 문서를 절대 분실하지 않도록 잘 보관해야 한다. (스팀키 뿐만 아니라 트론도 마찬가지!)

 

 

지갑(Steemit wallet)에 들어가 보았더니 STEEM, STEEM POWER, STEEM DOLLARS, 예금 등의 항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팀 파워는 스팀잇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낸다고 하는데 스팀과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 스팀잇을 제대로 하려면 이것저것 공부할 게 많아 보인다. 앞으로 스팀잇 커뮤티니 활동을 하며 알게된 점, 수익이 실제로 잘 발생하는지 등 다양한 정보를 포스팅을 통해 공유하도록 하겠다.

 

애드센스, 쿠팡 파트너스를 운영한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 아직 안정적으로 자리잡지 못한 듯 하여 아쉬움이 많다. 오늘보다는 내일 더 나을거라는 믿음으로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운영해보려고 한다. 더해서 올해 새롭게 시작한 스팀잇도 나의 부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한 번 시작한 거니까, 스팀잇도 열심히 해보자! 화이팅!

반응형

댓글